국제 이슈
중국 제조업 PMI 1년 4개월 만에 최저…美 관세 여파 본격화
- 공식 지표 49로 급락…수출 주문·고용 지표도 동반 악화

[이코노미스트 정동진 기자]중국 제조업 경기가 다시 위축 국면에 진입했다. 미국의 고율 관세 조치가 본격적인 충격으로 작용하며 수출과 고용지표까지 동반 악화된 모습이다. 시장에서는 중국 정부에 보다 즉각적이고 강력한 부양책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30일 중국 국가통계국은 4월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가 49로 집계됐다고 발표했다. 지난 3월(50.5)보다 1.5포인트 하락하며 기준선인 50을 하회했다. PMI가 50 아래로 떨어졌다는 것은 제조업 경기가 다시 위축 단계로 접어들었음을 뜻한다. 이는 2023년 12월 이후 최저치다.
비제조업 PMI는 50.4로 집계돼 기준선(50)을 소폭 웃돌았으나, 전월(50.8) 대비 하락하며 둔화 흐름이 나타났다. 서비스업과 건설업 모두 성장세가 눈에 띄게 둔화된 것으로 분석된다.
시장에서는 미국의 145% 고율 관세가 주요 변수로 작용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모건스탠리의 로빈 싱 중국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블룸버그TV와의 인터뷰에서 “예상보다 훨씬 나쁜 결과”라며 “관세가 제조업에 실질적인 충격을 주기 시작했다”고 평가했다. 그는 이어 “2분기 성장률이 크게 둔화될 수 있으며, 추가 부양이 불가피하다”고 진단했다.
글로벌 투자은행들도 최근 중국의 2025년 성장률 전망치를 일제히 하향 조정하고 있다. 골드만삭스와 UBS는 최근 중국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4% 이하로 낮췄다. 특히 수출 부문 충격이 본격화되면서 기업 매출과 고용에도 악영향이 가시화되고 있다는 평가다.
4월 신규 수출 주문 역시 2022년 12월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감소 폭은 상하이 전면 봉쇄 시기였던 2022년 4월 이후 최대였다. 제조업 고용지수 역시 2024년 2월 이후 가장 빠른 속도로 하락해, 고용시장에도 부담이 커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관세 충격이 본격화됐음에도 중국 정부는 당분간 기존 부양책의 이행에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최근 베이징 당국은 수출 기업을 대상으로 한 금융지원과 내수 진작 대책을 발표했지만, 대규모 추가 경기부양 조치는 내놓지 않았다.
ANZ은행의 싱 자오펑 전략가는 “관세 대응을 위한 맞춤형 정책이 2개월 내 나올 가능성이 있다”면서도 “장기화 가능성에 대비해 정책 여력을 아껴둘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중국 정부는 대미 협상에 대해 여전히 소극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왕이 외교부장은 지난 29일 “미국의 관세 위협에 굴복하는 것은 강자를 오만하게 만들 뿐”이라며 대미 강경 메시지를 이어갔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폭싹'이 반한 장가계 간 유튜버 "가이드가 협박, 무서웠다" 주장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이상민, 20년 만에 '재혼'…예비신부 정체는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건진 커넥션` 檢 압색 영장, 김건희 참고인 적시…"선물 줬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SK실트론, PEF들 눈치싸움…국적·업황 리스크에 '셈법 복잡'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코스닥 상승 이끈 비만 테마주의 힘…천당·지옥 오간 오름[바이오맥짚기]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