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이슈
"트럼프가 4번 전화했지만…인도 모디 총리, 통화 거부" 무슨 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최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여러 차례 통화하려고 시도했으나 모디 총리가 이를 모두 거부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독일의 유력 일간지 프랑크푸르터알게마이네차이퉁(FAZ)이 26일(현지시간) "트럼프가 전화했으나 모디는 안 받았다"고 보도했다.
FAZ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최근 몇 주간 4차례 이상 모디 총리와 통화를 시도했으나 모디 총리가 통화 요청에 불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FAZ는 "지금까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관세 분쟁에서 모든 상대편을 박살내왔으나 인도를 그렇게 하지는 못했다"며 트럼프의 협박을 계기로 인도가 이웃 강대국인 중국과의 오랜 악연에도 불구하고 중국과의 협력을 강화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고 전했다.
인도 시장 개방을 요구하는 트럼프의 협박은 인도 정부 수장인 모디 총리에게는 과거의 치욕을 상기시키는 일이라고 이 신문은 지적했다.
이에 앞서 지난 24일 일본의 영문 매체 '닛케이 아시아'는 인도의 외교 전문가들을 익명으로 인용해 "트럼프가 최근 타협을 시도하기 위해 모디와 통화하려고 여러 차례 시도했으나 모디가 계속해서 통화를 거부했으며, 이 때문에 트럼프의 짜증이 더 커졌다"고 보도했다.
관세 부과 등으로 양국 간 무역분쟁 위기가 커지고 있다.
4월에 미국이 인도산 상품에 부과할 관세율을 26%로 설정하자 양측은 무역협상을 벌였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이에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가 러시아산 원유를 대량으로 구매하는 점 등을 문제삼아 인도산 상품에 대한 관세율을 기존 25%에서 50%로 높이겠다는 행정명령에 지난 6일 서명했으며, 이 방침은 예고를 거쳐 27일부터 시행된다.
인도 상무부 관계자는 익명을 조건으로 로이터통신에 "(인도) 정부는 미국 관세에서 즉각적 완화조치나 연기조치가 이뤄질 것이라는 희망을 품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의 인도산 상품 관세 부과로 타격을 입은 인도 수출기업들은 정부로부터 자금 지원을 받을 것이며 중국, 중남미, 중동 등으로 수출선을 다변화하도록 장려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속보]뉴욕증시 상승 마감…엔디비아 실적 기대감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다혜, 과감한 모노키니로 '해변 여신' 등극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중국에 인천공항 내줄 판"…韓면세 '초유의 위기'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단독]본부 키우고 CFO 충원…구다이글로벌, 재경 인력 확충 속도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셀비온, 국내 첫 방사선치료제 상용화...‘코아스템켐온·유한양행처럼’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