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택배 사회적 대화기구 새벽배송 금지 제안
노동자·소비자 이어 정치권까지 반대 의견
5일 업계에 따르면 민노총 산하 택배노조가 최근 택배 사회적 대화기구에 제안한 ‘새벽배송 금지’에 대한 여론이 좋지 않다.
앞서 지난달 22일 민노총 택배노조는 택배 사회적 대화기구에 ▲오전 0시부터 5시까지 새벽배송 제한 ▲오전 5시 및 오후 3시에 각각 출근하는 주간 연속 2교대제 도입 등을 제안한 바 있다. 야간노동은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기관이 규정한 발암물질로, 노동자의 건강권을 보호해야 한다는 게 이유다.
현장 근로자와 소비자단체 등은 일제히 민노총 택배노조의 새백배송 금지 제안을 비난하고 나섰다. 쿠팡파트너스연합회(CPA)는 “진짜 택배현장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였는지 의문”이라며 “사회적 대화를 폐지해야 할 판”이라고 비판했다. CPA는 쿠팡 위탁 택배기사 약 1만명이 소속된 단체다.
CPA는 현장 근로자들이 새벽배송 금지를 원하지 않는다는 설문 조사 결과도 제시했다. CPA가 새벽배송 기사 2405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진행한 결과, 전체 응답자의 93%가 새벽배송 금지를 반대했다.
소비자들도 새벽배송 금지를 반대하는 분위기다. 소비자단체인 소비자와함께 등이 최근 진행한 ‘택배배송 서비스 인식 조사’ 결과, 응답자의 89%는 새벽배송이 꼭 필요한 서비스라고 답했다. 새벽배송 이용 경험이 있는 소비자의 98.9%는 재이용 의향이 있다고 했다. 소비자와함께는 “새벽배송은 생활 필수 인프라가 됐다”며 “새벽배송이 멈추면 소비자 일상도 멈춘다”고 강조했다.
새벽배송 중단이 유통산업 전반에 타격을 줄 수 있다는 예상도 나온다. 한국온라인쇼핑협회는 지난 4일 성명서를 통해 “새벽배송 중단 시 농어업인은 신선식품 판매 기회를 상실하게 된다”며 “단순 물류 서비스 제한이 아니라 지역경제와 내수 시장 전반의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는 구조적 위험”고 우려했다.
정치권도 새벽배송 금지 제안에 회의적이다. 박성훈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오늘(5일) 논평을 내고 “생활 깊숙이 자리 잡은 인프라를 하루아침에 없애겠다는 것은 국민편의를 외면하는 행태”라며 “새벽배송으로 돈을 버는 택배기사들의 삶을 무너뜨리고 사람들의 일자리를 빼앗으려는 막무가내 조치”라고 지적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우리 아이 무시해주세요”… 아들맘 필수 구독 채널 ‘소히조이’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11/02/isp20251102000029.400.0.jpg)
![도로 위의 크리에이터, ‘배달배’가 만든 K-배달 서사 [김지혜의 ★튜브]](https://image.isplus.com/data/isp/image/2025/09/25/isp20250925000152.400.0.jpg)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낙산공원 가지 못했네…” 日 모녀 관광객 유족의 울분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박성광, 故박지선 추모 “올해는 오빠가 늦었다”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검은 수요일’ 개인 2.4조 순매수…코스피 4000선 지켰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4000피 훈풍' 소외된 KIC·공제회들…내년 '전화위복' 기대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꽃놀이패’ 쥔 디앤디파마텍, 노보vs화이자 누가 이득일까?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