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
‘남매 갈등’ 윤여원 콜마BNH 대표, 실적 부진 지적 반박…“역대 최대 매출”
- 콜마BNH, 작년 매출 6156억…”사실관계 왜곡”
콜마홀딩스 “콜마BNH 시총 2.1→4000억 급락”

콜마BNH는 7일 입장문을 통해 “윤 대표가 단독대표로 취임한 첫 해인 지난해 연결 기준 창사 이래 최대 매출인 6156억원을 기록했다”며 “이러한 실적을 거둔 대표에게 실적 부진을 이유로 퇴진을 요구하는 것은 사실관계를 심각하게 왜곡한 주장”이라고 밝혔다.
앞서 콜마홀딩스가 콜마BNH의 실적 부진 원인으로 윤 대표의 경영 능력 부족을 꼽은 데 대한 대응이다. 콜마BNH는 윤 대표의 오빠인 윤 부회장이 최근 자신과 이승화 전 CJ제일제당 부사장을 콜마BNH 사내 이사로 선임하라고 요구했고, 윤 대표가 이를 거부하면서 경영권 분쟁을 겪게 됐다.
콜마BNH는 “지난 2018~2021년 그룹 내 주요 사업인 화장품이 부진을 겪는 동안 콜마BNH가 가장 높은 외형 성장과 수익성을 기록했지만, 윤 부회장에게 화장품 사업의 부진을 책임지고 퇴진하라는 요구는 없었다”면서 “경기에 민감한 소비재산업에서 (실적) 하락 국면마다 경영진을 교체해야 한다면 누구도 지속가능한 중장기 전략을 구축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콜마BNH에 따르면 콜마BNH의 경영은 관리하에 운영됐다. 콜마BNH는 “수년간 콜마홀딩스는 정기적인 대면 보고를 통해 주요 사업 전략과 의사결정에 깊이 관여해 왔다”며, “미래 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다양한 신사업 제안과 투자 계획도 지주사 차원에서 대부분 반려됐다”고 주장했다.
콜마홀딩스가 윤 대표의 경영실패 사례로 언급한 콜마생활건강 역시 윤 회장과 윤 부회장의 승인을 받는 등 그룹의 사전조율 아래 시작된 사업이라고 콜마BNH는 강조했다.
콜마BNH 측은 윤 대표가 최근 수년 간 ▲원료 포트폴리오 혁신 ▲연구·개발(R&D) 인프라 강화 ▲생산·영업·SCM의 전반적 효율화 등을 추진하며 꾸준히 체질 개선에 집중했다고 전했다.
지난 4월 36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며 1분기 전체 이익을 한 달 만에 달성하는 등 2분기부터 수익성 회복이 본격화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올해 5월 영업이익도 1년 전보다 40% 이상 늘어난 36억원으로 나타났다.
윤 부회장이 이끄는 콜마홀딩스도 이날 입장문을 내고 “콜마BNH는 지난 2020년 2조1000억원에 달하던 시가총액이 작년 4000억원대로 급감했다”면서 “같은 기간 영업이익도 1092억원에서 246억원으로 4분의 1로 줄고, 영업이익률도 78%나 추락한 상황”이라고 반박했다.
콜마홀딩스 측은 “같은 기간 매출만 소폭 늘었다는 것만 떼어내 유리한 숫자만 강조하는 행위는 시장과 주주의 혼란을 야기할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
아버지 윤 회장은 지난 5월 아들 윤 부회장을 상대로 콜마홀딩스 지분 460만주에 대한 증여계약 해제를 통보하고, 주식 반환을 요구하는 민사소송을 서울중앙지방법원에 제기했다. 윤 회장이 증여한 주식은 법원에 의해 처분금지가처분 결정이 내려진 상태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4호 태풍 '다나스' 대만 관통하며 '물폭탄'…이동 경로 보니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마켓인
이데일리
권은비, 올해 워터밤 '찢었다'..직캠 인기 치솟아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나오는 족족 팔렸는데”…경매시장 얼어붙은 이유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상법 개정發 회수 전략 대전환…"IPO만이 답 아니다"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유럽 동정적 사용은 ‘효과 입증’ 필수…젬백스, 알츠하이머 임상2상 성공 청신호?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