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뱅 유일 목표 미달…카카오 33.7%·토스 30.4%

23일 은행연합회 공시에 따르면 1분기 인터넷은행의 신규 취급 신용대출 중 중·저신용자 대상 대출 비중(평잔 기준)은 카카오뱅크 33.7%, 토스뱅크 30.4%, 케이뱅크 26.3% 등으로 집계됐다.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은 은행의 1분기 가계 신용대출, 개인사업자 신용대출, 서민대출 중 보증 한도 초과 대출 신규취급액에서 KCB 기준 신용평점 하위 50% 차주에 대한 개인신용대출, 개인사업자 신용대출, 서민금융대출 중 보증 한도 초과 대출 신규취급액이 차지하는 비중을 의미한다.
카카오뱅크와 토스뱅크는 목표 수준 30%를 간신히 넘긴 반면 케이뱅크만이 기준을 밑돌았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인터넷은행의 중·저신용자 대상 신용대출 비중 목표를 ‘평잔 30% 이상’으로 통일했으며 올해부터 ‘신규취급액 30% 이상’ 기준도 추가했다.
신규취급액이 아닌 잔액 기준으로는 인터넷은행 3사 모두 30%를 넘었다. 인터넷은행의 전체 가계신용대출 중 중·저신용자 대상 대출 비중(평잔 기준)은 케이뱅크가 35.0%, 토스뱅크가 34.3%, 카카오뱅크가 32.8%를 기록했다. 케이뱅크는 35.0%로 3사 중 가장 높았으나 전 분기 35.3%보다는 낮아졌다. 반면 토스뱅크(34.0%→34.3%)와 카카오뱅크(32.2%→32.8%)는 전 분기보다 비율이 소폭 올랐다.
케이뱅크 측은 평균 잔액 기준 신규취급액 기준 비중이 30%를 밑도는 것에 대해 “평균 잔액은 조기에 공급할수록 반영률이 높아지는 특성이 있다”며 “중저신용자 비중이 높았던 2월, 3월의 반영률이 1월보다 낮은 것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케이뱅크가 올 1분기 신규 공급한 중저신용자 신용대출 규모는 2544억원이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중저신용 고객을 위한 다양한 금융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상시 노력 중에 있다”며 “CSS 고도화 및 건전성 관리를 통해 지속 가능한 포용금융을 실천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대선 후보 모두 '연금 개혁 필요하지만'…방향은 달라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아이린, 깜짝 결혼 발표…예비신랑 정체는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군가산점제' 부활?…이재명 "女 갈라치기" vs 김문수 "국가 책무"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모태펀드 존속 불확실성 해소될까…이재명 공약에 업계 주목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단독]지투지바이오, 특허무효심판 피소…상장 영향은?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