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해상 교통기후환경연구소 결과 발표

1일 현대해상 교통기후환경연구소에 따르면 호흡기, 감염성, 피부, 눈 질환 순으로 진료가 급증했다. 해당 연구는 지난 2010년부터 2023년까지 14년간 국민건강보험공단 0~14세 어린이 진료내역 중 5~9월 자료를 토대로 작성됐다.
질병별로 살펴보면 호흡기 질환이 전체의 54.7%를 차지하며 가장 높은 진료 비중을 보였다. 냉방기기 장시간 사용과 실내외 온도 차이 영향을 받아서다. 이에 따라 에어컨은 1시간 가동 후 30분간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최소 2~4시간마다 5분 이상 창문을 열어 실내외 공기를 환기시켜야 한다. 에어컨 필터는 최소 2주에 한 번 청소해 청결하게 관리해야 한다.
장염, 식중독, 구내염 등 감염성·기생충성 질환은 지면 온도가 25℃ 이상일 때 급증하는 모습을 보였다.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 병원성 미생물의 생존과 증식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돼서다. 특히 어린이는 신장이 작고 지면과 가깝기 때문에 지면에서 발생하는 열과 먼지 등 오염물질에 더 쉽게 노출됐다.
피부와 눈 질환은 최저기온이 20℃ 이상일 때, 진료 건수가 증가했다. 밤 사이 신체의 충분한 회복이 어려운 기온 환경을 조성하기 때문이다. 특히 어린이는 성인에 비해 체온 조절 능력이 미숙하기 때문에 밤에도 고온이 지속될 경우 수면의 질이 저하되고 면역력이 약화돼 피부나 눈 등 외부 자극에 민감한 부위에서 염증·자극성 질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현대해상 교통기후환경연구소는 “어린이의 수면 환경을 건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방 온도를 24~26℃(1세 미만 영유아는 18~21℃), 습도는 40~60%로 유지하고, 어린이가 잠들기 전 미리 실내를 선선하게 만든 후 자는 동안에는 냉방 기기는 꺼두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이어 “잠들기 1~2시간 전 미지근한 물로 샤워시키고, 통기성 좋은 잠옷과 이불을 사용하는 것도 숙면에 도움이 된다”며 “기상과 취침 시간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규칙적인 수면 습관과 함께, 잠들기 전 스마트폰이나 TV 등 전자기기 사용을 자제하면 뇌 자극을 줄여 수면 유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덧붙였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손흥민, 토트넘 떠난다…"내 선택 존중해줘"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이데일리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손흥민, 토트넘 떠난다…"내 선택 존중해줘"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한미정상회담 언제하냐 질문에…트럼프 “한국과 훌륭한 관계”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IPO 실패시 회수 어떻게?…구다이글로벌 CB 투자 딜레마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구독하면 200만원 주식 선물', 팜이데일리 8월 행사 시작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