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살아 있는 한 희망을 상상하는 일, 그 오래고 깊은 사랑에 대한 한강의 기록들 [새로 나온 책]
- 노벨문학상 수상 강연문 포함
미발표 시, 산문, 정원 일기 수록

△빛과 실
‘역사적 트라우마를 정면으로 마주하고 인간 삶의 연약함을 드러내는 강렬하고 시적인 산문’이라는 선정 이유와 함께 2024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작가 한강의 신작 ‘빛과 실’(2024)이 문학과지성사 산문 시리즈 ‘문지 에크리’의 아홉 번째 책으로 출간됐다.
노벨문학상 수상 강연문 ‘빛과 실’(2024)을 포함해 미발표 시와 산문, 그리고 작가가 자신의 온전한 최초의 집으로 ‘북향 방’과 ‘정원’을 얻고서 써낸 일기까지 총 열두 꼭지의 글이 작가가 기록한 사진들과 함께 묶였다.
작가는 삼십 년 넘게 ‘쓰는 사람’의 정체성으로, “세계는 왜 이토록 폭력적이고 고통스러운가, 동시에 세계는 어떻게 이렇게 아름다운가”라는 두 질문 사이의 긴장과 내적 투쟁을 글쓰기의 동력으로 삼아왔다.
그 숱한 질문들 속 작가는 “‘가장 깊은 겹이 언제나 사랑을 향하고 있던 게 아닐까’, 그것이 바로 ‘내 삶의 가장 오래고 근원적인 배음(背音)이 아닐까’”라며 묻고 답하기까지, 시차를 두고 쓰인 시와 산문, 일기와 사진이 새롭게 제 자리를 잡았다.
‘북향의 사람’(북향 방)으로 읽고 쓰는 동안, 종일 빛이 들지 않는 정원에 음지에서도 견뎌내는 식물들의 뿌리를 내리고 탁상용 거울 여러 개의 방향을 옮겨가며 햇빛을 붙드는 작가의 작고도 간절한 일상을 따라 읽다 보면 자연스럽게 다음의 구절이 떠오른다.“이 행성에 깃들인 사람들과 생명체들의 일인칭을 끈질기게 상상하는, 끝끝내 우리를 연결하는 언어를 다루는 문학에는 필연적으로 체온이 깃들어 있습니다”라는 구절이다.
“글쓰기가 나를 밀고 생명 쪽으로 갔을 뿐이다”라고 작가는 말했다. 책장을 넘기면 흑면과 백면이 교차하며 맞닿은 글과 이미지가 서로에게 스미고 또 끌어당기며 작가의 방과 정원에 깃드는 빛과 그림자를, 이어지는 작가의 낮과 밤을 읽는 이로 하여금 좇게 만든다. 멀게는 사십여 년 전 유년의 기억이 저장된 중철 제본 노트에서 시작된 사랑, 따뜻한 생명에 대한 의문과 갈구가, 가깝게는 코로나19-팬데믹에 휩싸인 2020~2024년 북향의 방과 정원에서 ‘보고 듣고 냄새 맡고 맛보고 부드러움과 온기와 차가움과 통증을 느끼는’, ‘그 생생한 감각들’이 일기와 산문 속에서 오롯하다.
작가는 “햇빛이 잎사귀들을 통과할 때 생겨나는 투명한 연둣빛이 있다. 그걸 볼 때마다 내가 느끼는 특유의 감각이 있다”고 말한다. 또 “식물과 공생해 온 인간의 유전자에 새겨진 것이리라 짐작되는, 거의 근원적이라고 느껴지는 기쁨의 감각이다”라고 표현했다. ‘시적인 산문’이란 한강의 언어가 ‘경계 없는 글쓰기’라는 형식과 만났을 때, ‘비로소 우리가 마주하게 된 세계는 생명의 경이와 눈부신 빛으로 가득하다고 전한다.

△꼭 알아야 할 심리의 기술
아무렇지 않게 웃으며 선 넘는 발언을 일삼는 상대를 볼 때, 호락호락하지 않은 거래처 대표에게 계약을 따내야 할 때, 호감 있는 이성과 한 번 더 보는 자리를 마련하고 싶을 때. 꼭 시간이 지나고서야 할 말이 떠오른다. 비즈니스 심리 연구의 일인자인 저자가 최신 심리학 이론을 바탕으로 ‘꼭 알아야 할 심리의 기술’ 101가지를 알려준다.

△배우다!
일상에서 마주치는 자연·사물·인물·철학 속에서 삶의 지혜를 한 수 배워가는 인문교양 에세이. 짧고 강렬한 문장으로 깊은 메시지를 던지며 독자에게 삶을 다시 바라보게 하는 통찰을 제공한다. 어떤 때는 책에서, 어떤 때는 길거리에서, 어떤 때는 전혀 예상치 못한 한마디에서 스승을 만난다. 그리고 그 스승은 대부분 ‘실패’라는 이름으로 다가왔다. 이 책은 그런 ‘한 수’들의 기록이다.

△원태연의 작사법
원태연 작가의 시와 가사는 모두 그의 인생에서 나온 것이며 그는 모든 작품에 진심을 담기까지 실수와 후회, 반성과 깨달음을 반복하며 사람과 세상에 대한 이해와 사랑을 키워왔다. 원태연의 작품이 언제나 우리 가까이에서 섬세하게 감정을 살펴줄 수 있었던 그 이유, 그의 사람 냄새 나는 유쾌하고도 진중한 면모가 이 책에서 30년 만에 처음으로 드러난다.
ⓒ이코노미스트(https://economist.co.kr) '내일을 위한 경제뉴스 이코노미스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당신이 좋아할 만한 기사
브랜드 미디어
브랜드 미디어
TK 유세 마친 이재명 "빨간깃발 꽂으면 당선? 이제 없다"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팜이데일리
일간스포츠
'대박' SSG 최정, KBO 사상 첫 통산 500홈런
대한민국 스포츠·연예의 살아있는 역사 일간스포츠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일간스포츠
'쿠크다스보다 얇은' 갤S25 엣지…애플보다 앞서 초슬림 선점
세상을 올바르게,세상을 따뜻하게이데일리
이데일리
이데일리
[마켓인]'5년 조기상환'의 함정…자본성증권의 '역습'
성공 투자의 동반자마켓인
마켓인
마켓인
현대바이오, 반전 카드 뎅기열 치료제 상용화 로드맵 완성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
팜이데일리